'2023/05'에 해당되는 글 3건

  1. 2023.05.26 :: 원형 파이프 VS 각 파이프
  2. 2023.05.02 :: 동결심도
  3. 2023.05.02 :: 물을 가열하는 시간을 계산하는 방법 (1)
주말농장 2023. 5. 26. 09:56


반응형

어떤 종류로 사용할것인지 고민. 지금이라도 각 파이프로 구매하여 설계를 변경할지 아니면 원형 파이프로 계속 갈지 고민

" 결론은 원형 파이프"

퍼왔습니다. : https://maxengkr.tistory.com/213

하중과 응력을 받는 구조물 설계시 원형 파이프를 사용할 것인지 각 파이프를 사용할 것인지 고민을 하게 된다. 장단점이 있다.

​- 작업성 : 각 파이프가 제관 및 용접 작업성이 좋다고 볼 수 있다. 단 밴딩을 해야 하는 경우 밴딩성은 원형이 유리하다.

​- 단위 중량당 강도 : 인장/압축 하중만 받아야 하는 트러스 구조물의 부재인 경우 하용 하중이 단면적에만 비례하므로 각 파이프가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실 설계 및 응력 해석을 해 보면 알 수 있지만 순수하게 인장 및 압축 응력만 받지는 않는다. 즉, 적설량 (Snow Load) 및 풍량 (Wind Pressure) 을 고려해서 설계해야 하는 외부 구조물의 경우, 측면에서 하중을 받는 경우는 굼힘 응력이나 비트림 응력이 걸린다. 역시나 품을 팔아야 한다. 조건에 따라 구조물을 모델화 시켜 응력 계산을 해 봐야 한다. 굽힘 하중이나 비틀림 하중을 받는 경우는 원형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경기용 자동차의 롤 케이지 (Roll Cage) 는 모두 원형을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위 길이당 중량이 가장 근접한 두 부재를 비교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단면 이차 모멘트 ( Second Moment of Intertia ) 와 비틀림 상수 (Torsioning Constant) 를 비교한다. 예들 들어 20X20X2.5mm (두께) 치수의 각환봉은 1미터당 무게가 1.25 kg 이고 26.9X2mm (외경X두께) 치수의 원형은 단위 무게가 1.23 kg/m 이다. 따라서 이 두 부재의 값들을 비교해 보면 쉽게 설명이 된다. 단면적 차이는 거의 없는 반면 단면 이차 모멘트 및 비틀림 상수의 차이는 크다. 단연코 원형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규격 단위 중량 [kg/m] 단면 [cm^2] 단면 이차 모멘트
[cm^4]
비틀림 상수
J [cm^4]
SQ20X20X2.5 1.25 1.75 0.766 1.39
Ø26.9X2 1.23 1.57 1.22 2.44

 

반응형

'주말농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결심도  (0) 2023.05.02
물을 가열하는 시간을 계산하는 방법  (1) 2023.05.02
미니 단호박  (0) 2020.10.16
고들빼기  (0) 2020.10.16
지목의 종류  (0) 2020.07.03
posted by 파인진

댓글을 달아 주세요

주말농장 2023. 5. 2. 10:44


반응형

동결심도 

경기,수원 땅을 깊이 파야 되겠습니다.

반응형

'주말농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형 파이프 VS 각 파이프  (0) 2023.05.26
물을 가열하는 시간을 계산하는 방법  (1) 2023.05.02
미니 단호박  (0) 2020.10.16
고들빼기  (0) 2020.10.16
지목의 종류  (0) 2020.07.03
posted by 파인진

댓글을 달아 주세요

주말농장 2023. 5. 2. 09:22


반응형

모음 1

1리터 1도가열당 1kcal, 물 온도 5도, 100도까지 가열
2리터 x 95 = 190kcal

가스렌지가 7000kcal/h 라고 할 경우
7000 / 60 = 117kcal/min
190/117 * 60 = 98초

제가 아는선은 요정도고 효율이 변수로 들어갈테니 좀 더 걸릴겁니다.
끓여서 기화되려면 증발잠열이 539kcal이므로 9분 12초


2000*60 = 120000
5000/60 = 83
120000/83 = 1445

 

모음 2

Pt = (4.2 * L * T) / 3600이라는 공식을 사용하면 한 온도에서 다른 온도로 물의 특정 양을 가열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위의 방정식에서 Pt로 표시된 것처럼 물을 가열하는 데 사용 된 전력을 계산 한 후에이 숫자를 히터 요소 등급으로 나누어 물을 가열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확인합니다.

Pt = (4.2 * L * T) / 3600. Pt는 물을 가열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kWh)입니다. L은 가열되는 물의 리터 수이고 T는 섭씨로 표시 한 온도의 차이입니다.

방정식에 적절한 숫자를 입력하십시오. 20도에서 100도까지 20 리터의 물을 가열한다고 상상해보십시오. 그러면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Pt = (4.2 * 20 * (100-20)) / 3600 또는 Pt = 1.867

 

히터 요소 등급으로 1.867로 결정된 물을 가열하는 데 사용 된 전력을 kW로 나눔으로써 물을 가열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히터 요소 정격이 3.6 kW 인 경우 방정식은 가열 시간 = 1.867 / 3.6 또는 가열 시간 = 0.52 시간과 같습니다. 따라서, 3.6 kW의 정격을 가진 요소로 20 리터의 물을 가열하는 데 0.52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모음3

500 W 전열기로 0.8 L 물을 15에서 100까지 가열하는데 20

 

 

500 W의 전열기로 0.8 L의 물을 15에서 100까지 가열하는데 20분이 걸린다.

외부로 방출되는 열량은 몇 %인가?

 

---------------------------------------------------

 

1 kW = 1 kJ/s 이므로,

500 W의 전열기로 20분간 가열한 열량(kJ)을 계산하면,

(0.5 kJ/s) × (20 min) × (60 s / 1 min) = 600 kJ

 

 

15  0.8 L(= 0.8 kg) 100로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kJ)을 계산하면,

q = C m Δt

= (4.184 kJ/kg•℃) × (0.8 kg) × (100-15 ) = 284.5 kJ

( 식 설명 https://ywpop.tistory.com/2897 )

 

 

외부로 방출된 열량의 백분율을 계산하면,

[(600  284.5) / 600] × 100 = 52.6%

 

 

: 52.6%

 모음4

 

전기온수기 가열 시간 계산식

 

Q = C × M × T

(C는 비열 = 1 Kcal/Kg., M은 질량 1L = 1Kg, T는 온도차)

1 Kw = 860 Kcal.

 

예시 1 : 270L80로 가열하는데 걸리는 시간.(물의 평균온도는 10로 본다)

Q = 1 Kcal/Kg.× 270 Kg × (80-10)

Q = 18900 Kcal

1 Kw = 860Kcal 이므로 270L 의 전기적 용량은

(18900 ÷ 860)Kcal = 21.976 Kw

 

270L 의 전격 용량은 2.7Kw/시간

따라서 21.976 ÷ 2.7 = 8.14시간

즉 다시 말해서 270L 80까지 가열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8시간이다.

 

예시 2 : 410L80로 가열하는 데 걸리는 시간

Q = 1 Kcal/Kg.× 410 Kg × (80-10)

Q = 28700 Kcal

28700 ÷ 860 = 33.37 Kw

33.37 ÷ 4.1 Kw = 8.13시간 즉 80까지 가열하는데 대략 8시간이 걸린다.

 

예시 3 : 60L 80로 가열하는데 걸리는 시간.

Q = 4200 Kcal

4200 ÷ 860 = 4.9 Kw

270 L에서는 4.9 ÷ 2.7 = 1.8시간 즉 1시간 50분 정도가 걸린다.

410 L에서는 4.9 ÷ 4.1 = 1.2시간 즉 1시간 15분 정도가 걸린다.

 

* 주의사항

축열식 온수기는 물이 완전히 채워졌을 때 히터가 가열된다. 따라서 이론상으로는 60L가열시간은 1시간에서 2시간이지만 실제로 온수를 쓸 때는 8시간의 가열 후에 사용할 수밖에 없다. 다만 축열식 온수기이기 때문에 온수가 저장이 되므로 8시간 가열 후 사용량에 따라 온수 가열 시간이 차이가 난다.

 

반응형

'주말농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형 파이프 VS 각 파이프  (0) 2023.05.26
동결심도  (0) 2023.05.02
미니 단호박  (0) 2020.10.16
고들빼기  (0) 2020.10.16
지목의 종류  (0) 2020.07.03
posted by 파인진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