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농장'에 해당되는 글 19건
- 2020.10.16 :: 미니 단호박
- 2020.10.16 :: 고들빼기
- 2020.07.03 :: 지목의 종류
- 2020.06.14 :: 뱀딸기 ㅎㅎㅎ
- 2020.06.14 :: 이름 모를 야생화
- 2020.06.14 :: 맹감나무 오랜만이네
- 2020.06.14 :: 싸리나무 꽃
- 2020.06.14 :: 산에서 돌배를 만나다.
- 2020.06.12 :: 매화~ 매실
- 2020.06.07 :: 2020 고추 수확 (1)
- 2020.06.06 :: 새콤달콤 딸기! 베란다 텃밭에서 성공!
- 2020.06.06 :: 농장 주변 야생화 모음
- 2020.06.06 :: 주말농장 채소들
- 2020.06.06 :: 산딸기를 만나다.
- 2020.06.06 :: 민들레 바람을 만났네..
초등학교 농산물 꾸러미속 미니 단호박 씨앗을 심어서 수확했어요.




em인지 소주인지 모르지만 뿌리면 잎이 마른다.
호박은 자연 스스로 성장


em 200ml매주 1회 살포
심을때 밑거름 10kg
댓글을 달아 주세요
전/묘 가 뭔가 찾아 봤더니 묘가 있다는 내용이었군요. 이 밭어디에 묘가 있어나? 있다는건가?
지목의 종류
[전] – 전
물을 대지 아니하고 곡물·원예작물(과수류를 제외한다)·약초·뽕나무·닥나무·묘목·관상수등의 식물을 주로 재배하는 토지와 식용을 목적으로 죽순을 재배하는 토지는 “전”으로 한다.
[답] – 답
물을 직접 이용하여 벼·연·미나리·왕골등의 식물을 주로 재배하는 토지는 “답”으로 한다.
[과] – 과수원
일정한 구역을 정하여 사과·배·밤·호도나무등 과수류를 집단적으로 재배하는 토지와 이에 접속된 저장고등 부속시설물의 부지는 “과수원”으로 한다. 다만, 주거용 건축물의 부지는 “대”로 한다.
[목] – 목장용지
일정한 구역을 정하여 축산업 및 낙농업을 목적으로 가축을 사육하거나 사육하기 위하여 조성한 초지 또는 축산법 제2조제1호의 규정에 의한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등 부속시설물의 부지는 “목장용지”로 한다. 다만, 주거용 건축물의 부지는 “대”로 한다.
[임] – 임야
산림 및 원야를 이루고 있는 수림지·죽림지·암석지·자갈땅·모래땅·습지·황무지와 간석지등은 “임야”로 한다.
[광] – 광천지
지하에서 온수·약수·석유류등이 용출되는 용출구 및 그 유지를 위한 부지는 “광천지”로 한다. 다만, 온수·약수·석유류등을 일정한 장소로 운송하는 송수관· 송유관 및 저장시설의 부지를 제외한다.
[염] – 염전
바닷물을 끌어들여 소금을 채취하는 토지와 이에 접속된 제염장등 부속시설물의 부지는 “염전”으로 한다. 다만, 천일제염방식에 의하지 아니하고 동력에 의하여 바닷물을 끌어들여 소금을 만드는 제조공장시설의 부지를 제외한다.
[대] – 대지
영구적 건축물중 주거·사무실·점포와 박물관·극장·미술관등 문화시설과 이에 접속된 부속시설물의 부지 및 정원과 도시계획사업등 관계법령에 의한 택지조성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공사가 준공된 토지는 “대”로한다.
[장] – 공장용지
제조업을 목적으로 하는 공장시설물의 부지와 관계법령에 의한 공장부지 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공사가 준공된 토지와 당해 토지와 같은 구역안에 있는 의료시설등 부속시설물의 부지는 “공장용지”로 한다.
[학] – 학교용지
일정한 구역내의 학교의 교사와 이에 접속된 부속시설물의 부지 및 체육장등은 “학교용지”로 한다.
[차] – 주차장
자동차 등의 주차에 필요한 독립적인 시설을 갖춘 부지와 주차전용 건축물 및 이에 접속된 부속시설물의 부지는”주차장”으로 한다. 다만, 다음에 해당하는 시설의 부지는 제외 – 주차장법 제2조제1호 가목 및 다목의 규정에 의한 노상주차장 및 부설주차장 – 자동차 등의 판매목적으로 설치된 물류장 및 야외전시장
[주] – 주유소용지
석유ㆍ석유제품 또는 액화석유가스 등의 판매를 위하여 일정한 설비를 갖춘 시설물의 부지와, 저유소 및 원유저장소의 부지와 이에 접속된 부속시설물의 부지, 다만, 자동차ㆍ선박ㆍ기차등의 제작 또는 정비공장안에 설치된 급유ㆍ송유시설 등의 부지는 제외
[창] – 창고용지
물건등의 보관 또는 저장하기 위하여 독립적으로 설치된 보관시설물의 부지와 이에 접속된 부속시설물의 부지
[도] – 도로
일반공중의 교통운수를 목적으로 보행 또는 차량운행에 필요한 일정한 설비 또는 형태를 갖추어 이용되는 토지와 관계법령에 의하여 도로로 개설된 토지 또는 2필지 이상의 대에 진입하는 통로로 이용되는 토지는 “도로”로 한다.
[철] – 철도용지
교통운수를 목적으로 하여 일정한 궤도등의 설비와 형태를 갖추어 이용되는 토지와 이에 접속된 역사·차고·발전시설 및 공작창등 부속시설물의 부지는 “철도용지”로 한다.
[천] – 하천
자연의 유수가 있거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토지는 “하천”으로 한다. 다만, 그 규모가 특히 작은 것은 “구거”로 한다.
[제] – 제방
방수제·방조제·방파제·방사제등으로 조수·자연유수·모래·바람등을 막기위하여 설치된 둑의 부지는 “제방”으로 한다.
[구] – 구거
용수·배수를 목적으로 하여 일정한 형태를 갖춘 인공적인 수로·둑 및 그 부속시설물의 부지와 자연의 유수가 있거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소규모 수로는 “구거”로 한다.
[유] – 유지
일정한 구역내에 물이 고이거나 상시적으로 물을 저장하고 있는 댐·저수지·소류지·호수·양어장·연못등의 토지와 연·왕골등이 자생하는 배수가 잘되지 아니하는 토지는 “유지”로 한다.
[양] – 양어장
육상에 인공으로 조성된 수산생물의 번식 또는 양식을 위한 시설을 갖춘 부지와 이에 접속된 부속시설물의 부지
[수] – 수도용지
물을 정수하여 공급하기 위한 취수·저수·도수·정수·송수 및 배수시설의 부지 및 이에 접속된 부속시설물의 부지와 수도관의 매설부지는 “수도용지”로 한다.
[공] – 공원
일반공중의 보건·휴양 및 정서생활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구역내에 필요한 시설을 갖춘 토지로서 도시계획법에 의하여 공원으로 결정·고시된 토지와 도시공원법에 의하여 도시공원 및 녹지로 지정된 토지는 “공원”으로 한다. 다만, 도시공원법에 묘지공원으로 결정·고시된 토지는 “묘지”로 한다.
[체] – 체육용지
국민의 건강증진과 여가선용에 이용할 목적으로 일정한 구역내에 체육활동에 적합한 시설과 형태를 갖춘 종합운동장·실내체육관·야구장·골프장·스키장· 승마장·경륜장 등 체육시설의 토지와 이에 접속된 부속시설물의 부지는 “체육용지”로 한다. 다만, 체육시설로서의 영속성과 독립성이 미흡한 정구장· 골프연습장·실내수영장·체육도장등, 유수를 이용한 요트장·카누장등,산림을 이용한 야영장등의 토지를 제외한다.
[원] – 유원지
일반공중을 위하여 위락·휴양등에 적합한 시설물을 종합적으로 갖춘 수영장·유선장· 낚시터·어린이놀이터·동물원·식물원·민속촌·경마장등의 토지와 이에 접속된 부속시설물의 부지는 “유원지”로 한다. 다만, 이들 시설과의 거리등으로 보아 독립적인 것으로 인정되는 숙식시설 및 유기장의 부지와 하천·구거 또는 유지(공유의 것에 한한다)로 분류되는 것은 제외한다.
[종] – 종교용지
일반공중의 종교의식을 목적으로 예배·법요·설교·제사등을 하기 위한 교회·사찰·향교등 건축물의 부지와 이에 접속된 부속시설물의 부지는 “종교용지”로한다.
[사] – 사적지
문화재로 지정된 역사적인 유적·고적·기념물등을 보존할 목적으로 구획된 토지는 “사적지”로 한다. 다만, 유적·고적·기념물등이 학교용지·공원·종교용지등의 구역 안에 있는 경우를 제외한다.
[묘] – 묘지
사람의 시체나 유골이 매장된 토지와 이에 접속된 부속시설물의 부지는 “묘지”로 한다. 다만, 묘지의 관리를 위한 건축물의 부지는 “대”로 한다.
[잡] – 잡종지
갈대밭, 물건을 쌓아 두는 곳, 돌을 캐내는 곳, 흙을 파내는 곳, 야외시장, 비행장, 공동우물과 영구적 건축물중 변전소, 송신소, 수신소, 주차시설, 납골당, 유류저장 시설, 송유시설, 주유소(가스충전소를 포함한다), 도축장, 자동차운전학원, 쓰레기 및 오물처리장등의 부지와 다른 지목에 속하지 아니하는 토지는 “잡종지”로 한다. 다만, 원상회복을 조건으로 돌을 캐내는 곳 또는 흙을 파내는 곳으로 허가된 토지를 제외한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뱀딸기 뱀이좋아하나?
2020.06.16 업데이트

한자명 사매(뱀 사蛇 딸기 매苺)에서 유래했다고 나오는데,
[蛇苺 뱀딸기]란 말을 중국과 일본에서도 똑같이 사용한다는 점이다.
뱀딸기란 명칭에 대해 일본어 위키피디아에선 이런 설이...
1. 딸기 열매를 사람이 먹지 않고 뱀이 먹어서 붙여진 명칭
2. 뱀이 있을 것 같은 장소에서 자라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
3. 딸기를 먹으러 오는 작은 동물을 뱀이 노리는 것에서 유래
음...
먹어도 단맛은 덜하는데.. 왜 뱀딸기일까,ㅜㅜ에 대해 찾아서 갱신중입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뭔지 모르지만 독특하고 가냘픈데 꽃은 이쁘다.

'주말농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목의 종류 (0) | 2020.07.03 |
---|---|
뱀딸기 ㅎㅎㅎ (0) | 2020.06.14 |
맹감나무 오랜만이네 (0) | 2020.06.14 |
싸리나무 꽃 (0) | 2020.06.14 |
산에서 돌배를 만나다. (0) | 2020.06.14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산행중 갈증이나면 어린순 먹었다.
열매도 녹색이었다 가을이면 적색이된다.
요즘은 인테리어 소품이나 약재로 많이사용되서 그런지 잘안보인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빗자루나 울타리를 만들었던 싸리나무가 꽃이 핀다는걸 처음 알았어요.
발췌했습니다........
싸리나무는 그 개체가 다양하며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었고, 그 쓰임새가 좋아서 위와 같이 예로부터 실생활에 밀접하게 이용되어왔다. 채반, 소쿠리, 광주리, 삼태기, 다래끼, 울타리, 사립문[2], 반짇고리, 빗자루, 지게, 회초리, 횃불[3], 땔감, 키[4], 삼태기, 지팡이, 화살대 등등...
예전에는 싸리비를 많이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공장에서 대량생산할 수 있고, 수급하기 편한 재료가 있기에 역사의 뒤편으로 묻히고 있다.
식용으로도 쓰이며 잎과 꽃대를 끓는물에 데쳐 나물로 먹거나, 열매를 가루내어 떡, 국수, 수제비로 먹기도한다. 또한 잎이나 뿌리를 달이거나 즙을 내어 마시기도 하고, 약재로 쓰이기도 한다. 위에서도 보이다시피 꽃이 많이 피는 나무라 꿀의 원화로도 자주 사용된다. 아카시아 꿀에 밀리기는 하지만, 싸리나무에 한번 꽃이 피면 꿀벌 수백마리가 날아와서 근처에만 가도 벌집마냥 윙윙대는 소리가 들릴 정도.
야외에서 젓가락이 없을 때 대용으로도 쓰인다. 흔해서 구하기도 쉽고 독성이 없어 안전하다. 협죽도 항목에 쓰인 사례처럼 독성이 있는 나무도 주변에 많이 있으므로 싸리나무를 구분할 수 있다면 가급적 이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얇은 수피만 벗겨내면 바로 쓸 수 있어 편하기까지 하다.
'주말농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름 모를 야생화 (0) | 2020.06.14 |
---|---|
맹감나무 오랜만이네 (0) | 2020.06.14 |
산에서 돌배를 만나다. (0) | 2020.06.14 |
매화~ 매실 (0) | 2020.06.12 |
2020 고추 수확 (1) | 2020.06.07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주말농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감나무 오랜만이네 (0) | 2020.06.14 |
---|---|
싸리나무 꽃 (0) | 2020.06.14 |
매화~ 매실 (0) | 2020.06.12 |
2020 고추 수확 (1) | 2020.06.07 |
새콤달콤 딸기! 베란다 텃밭에서 성공! (0) | 2020.06.06 |
댓글을 달아 주세요
매화나무 열매
중국이 원산지이다.
녹색상태에서 가만히 두면 노랗게 익으면 황매실(단맛이난다)
효능으로 소화불량해소,피로회복과 해열작용,항암효과가 있다고 한다.
어렸을때는 이게 뭔가 했는데... 둥굴둥글해서 이걸 따서 서로 던지고 놀았으니 ...
'주말농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싸리나무 꽃 (0) | 2020.06.14 |
---|---|
산에서 돌배를 만나다. (0) | 2020.06.14 |
2020 고추 수확 (1) | 2020.06.07 |
새콤달콤 딸기! 베란다 텃밭에서 성공! (0) | 2020.06.06 |
농장 주변 야생화 모음 (0) | 2020.06.06 |
댓글을 달아 주세요
19년 고추나무를 뽑지않고 겨울을 보내고
봄에 싹이 났어요.


나무는 크게 자라지 않았어요.


작은 고추가 맵다.
확실하게 확인되었습니다.
'주말농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에서 돌배를 만나다. (0) | 2020.06.14 |
---|---|
매화~ 매실 (0) | 2020.06.12 |
새콤달콤 딸기! 베란다 텃밭에서 성공! (0) | 2020.06.06 |
농장 주변 야생화 모음 (0) | 2020.06.06 |
주말농장 채소들 (0) | 2020.06.06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주말농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화~ 매실 (0) | 2020.06.12 |
---|---|
2020 고추 수확 (1) | 2020.06.07 |
농장 주변 야생화 모음 (0) | 2020.06.06 |
주말농장 채소들 (0) | 2020.06.06 |
산딸기를 만나다. (0) | 2020.06.06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주말농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 고추 수확 (1) | 2020.06.07 |
---|---|
새콤달콤 딸기! 베란다 텃밭에서 성공! (0) | 2020.06.06 |
주말농장 채소들 (0) | 2020.06.06 |
산딸기를 만나다. (0) | 2020.06.06 |
민들레 바람을 만났네.. (0) | 2020.06.06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주말농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콤달콤 딸기! 베란다 텃밭에서 성공! (0) | 2020.06.06 |
---|---|
농장 주변 야생화 모음 (0) | 2020.06.06 |
산딸기를 만나다. (0) | 2020.06.06 |
민들레 바람을 만났네.. (0) | 2020.06.06 |
20.06.05 맥스 (0) | 2020.06.05 |
댓글을 달아 주세요


민달팽이만 보다가 요 달팽이를 보니 너무나 예뻐보였다.

산딸기 만나러 가는길.. 푸릇푸릇.. 초록초록하다 .
'주말농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장 주변 야생화 모음 (0) | 2020.06.06 |
---|---|
주말농장 채소들 (0) | 2020.06.06 |
민들레 바람을 만났네.. (0) | 2020.06.06 |
20.06.05 맥스 (0) | 2020.06.05 |
이번 여름은 수박,딸기를 많이먹겠다. (0) | 2020.06.05 |
댓글을 달아 주세요
민들레 씨아
민들레. 꿀벌. 애벌레.
'주말농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말농장 채소들 (0) | 2020.06.06 |
---|---|
산딸기를 만나다. (0) | 2020.06.06 |
20.06.05 맥스 (0) | 2020.06.05 |
이번 여름은 수박,딸기를 많이먹겠다. (0) | 2020.06.05 |
오렌지 싹이났어요. (1) | 2020.06.05 |
댓글을 달아 주세요